반응형
코인원 리서치 팀
디지털자산 명세서
사용자 친화적인 UX 제공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으로 기업데이터 유출 방지와 운영의 신뢰성 제고
당사는 2020년 06월 05일 클레이튼 (KLAY)을 상장한다. 클레이튼은 그라운드 X가 개발한 서비스 중심 플랫 폼 블록체인으로, 프라이빗 키 대신 이메일 ID 로그인을 지원하는 등 기술적 진입장벽을 낮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클레이튼 기반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들은 DAPP이 아닌 BAPP(Blockchain Application)으로 지칭되며, 이는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에 따라 탈중앙화적 특성을 제외하고 블록체인의 기 타 특성(투명성, 불역성 등)들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필요한 기술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클레이 튼은 민감한 데이터를 별도 보관할 수 있는 프라이빗 체인을 제공하며, 이를 메인넷과 연동하여 프라이빗 체 인의 신뢰성을 일부 보장한다. 클레이튼의 강점은 바이낸스, LG전자, 넷마블, 펍지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이 거버넌스로 활동함으로써 거래 내역을 검증하여 생태계의 신뢰성을 보장한다는 점이다. KLAY는 클레이튼의 플랫폼 토큰으로서 서비스 사용료 및 거래 수수료를 위한 지불 수단으로 사용되며 국내외 여러 BAPP들을 통 해 폭넓은 사용처를 제공한다. 그라운드 X는 6월 3일 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톡과 연동된 암호화폐 지갑인 KLIP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대중화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토큰 정보
토큰 발행량 100억개(10 billion tokens)
메인넷 이후 매년 3% 인플레이션
현재 1클레이 가격이 240원이므로 100억개 토큰은 2조 4천억원에 해당한다.
18%에 해당하는 18억개를 프라이빗 세일로 판매했고, 팀에 5억개, 테크 앤드 R&D에 8억개, 비즈니스 개발(댑과 유저)에 16억개가 배정되어 있다. 참고로 2020년 6월 3일 클립 지갑 공개와 함께 10만명에게 50개씩 에어드랍 했다. 500만개의 토큰(시세 200원 기준 약 10억원)이 에어드랍 되었다.
참고로 현재 카카오 시가총액이 22조원이다. 2조 4천억원은 카카오 시총 11%에 달하는 금액이다.
현재 코인원, 지닥, 데이빗거래소, 게이트.io, 업비트싱가폴 등에 상장되어 있다. (코인원은 6월 5일 상장 예정)
반응형
'생활경제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se Chat) 이오스 기반 채팅 메신저 (0) | 2020.08.08 |
---|---|
데이빗의 카카오 클레이(KLAY) 보유자에게 CSP 에어드랍 (0) | 2020.06.08 |
후오비 글로벌 비트코인 피자데이 이벤트 (0) | 2020.05.20 |
[디지털자산] 테라/루나 분석 (0) | 2020.05.16 |
여기서 25달러 벌었다. 리뷰헌트 (0) | 2020.05.02 |